가끔씩 시골에서 맛보는 가마솥 밥은 일반 전기밥솥으로 지은 밥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맛깔스런 윤기와 찰기를 띤다. 그 뿐인가? 가마솥 바닥에서 긁어 낸 누룽지와 숭늉의 구수함은 늘 고향에 대한 깊은 향수와 함께 떠오르곤 한다. 이번에는 가마솥에 숨겨진 과학을 살펴보기로 하자.


가마솥은 몇 가지의 구조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우선, 솥뚜껑의 무게가 솥 전체 무게의 1/3에 달한다. 언뜻 불편해 보이는 이 솥뚜껑이 실은 솥 안의 공기와 수증기의 외부유출을 막아 솥 내부의 압력을 높이는 역학을 한다. 우리 고유의 압력솥인 셈이다. 내부압력이 상승하면 물의 끓는점도 상승해 밥이 100℃ 이상의 고온에서 익게 되므로 쌀의 맛과 향, 그리고 영양소의 손실이 적다. 또한 뜸을 들이는 동안에도 고온 상태가 유지되어 좋은 밥맛을 내게 된다. 가마솥으 뚜껑을 차가운 행주로 닦아주는 것도 뚜껑 내부에 서린 수증기가 뚜껑을 타고 흘러 내려 뚜껑과 솥 사이의 틈을 막아주도록 하기 위함이다.


 솥 바닥의 특이한 구조도 밥맛에 영향을 미친다. 가마솥의 바닥은 둥글면서도 그 두께가 일정하지 않은 특성을 가진다. 바닥의 한 가운데가 가장자리보다 2배 가량 두꺼우며 가장자리로 갈수록 점차 얇아진다. 이런 독특한 구조는 열의 전도와 관련이 있다. 불이 가장 가깝게 닿아 강한 열이 가해지는 부분은 바닥의 중심부지만 각 부분의 두께가 다르기 때문에 실제로 솥 내부에 열이 전해지는 시기가 같아지게 된다. 이런 구조는 일반 냄비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단순한 형태의 대류와는 다른 복잡한 형태의 열과 물의 흐름을 만들어 낸다. 결국 열이 솥 안으로 고르게 전달되는 것이다. 가마솥의 밥알이 세로로 세워진 채로 익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처럼 가마솥에는 내부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바닥 전체에 열을 고르게 전달하도록 하는 독특한 구조가 숨어 있었다. 최근에는 가마솥의 원리를 응용해 솥 주위에 전기코일을 감아 열이 고르게 전달되도록 한 압력밥솥이 개발되었다. 현대 과학기술을 뛰어넘는 지혜가 우리 선조들의 삶 속에 살아 숨 쉬고 있음을 알 수 있다.